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99)
PBR 주가순자산 비율 PBR 주가순자산비율 Price to Book-value Ratio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BPS : book value per share)로 나눈 시장가치비율로, 기업의 순자산에 대해 1주당 몇 배 거래되고 있는지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PBR, 중국에서는 市净率, 영어권에서는 P/B로 축약표기한다 💡 주가순자산비율(PBR) = 주가 / 주당순자산가치(BPS) = 시가총액 / 순자산 위의 의미를 해석했을때는 지금 해당 PBR현재 시장에서 저평가 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렇다면, PBR 이 낮다면 매수해야할까? 대답은 "NO" 이다. PBR이 1미만이라면 장부가치보다 주가가 낮다는 뜻이다. 하지만 이 때문에 PBR이 1미만인 기업을 덥석 매수해서는 안된다. 첫째 이유는 기업의 자..
[삐멜] Log4Shell: 초보자를 위한 Log4j 보안 취약점 알아보기 https://cselabnotes.com/kr/2021/12/12/210/#comment-10
회사에서 리소스 산정시 _ 자주사용하는 용어 두개만 살펴본다. 기본 아래 용어는 작업량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작업량은 사람수 * 시간으로 나타냅니다. 용어 MD Man per Day 1사람이 1일 작업할때 자신의 시간을 100% 투입시의 작업량 MM Man per May 1사람이 1달 작업할때 자신의 시간을 100% 투입시의 작업량 예제 2MM 1달간 2명이 100% 자신의 시간을 쏟아 작업 할 경우. == 2달간 1명이 100% 자신의 시간을 쏟아 작업 할 경우. 1달간 4명이 50% 씩 자신의 시간을 쏟아 작업 할. ( 사실 이런경우 더 걸림.. project switch 발생으로인한.. ㅎㅎ ) 2달간 2명이 50% 씩 자신의 시간을 쏟아 작업 함. ( 상동 ) 잘못된 부분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_ _)
Typescript - enum tree shaking https://engineering.linecorp.com/ko/blog/typescript-enum-tree-shaking/
Blockchain, NFT, FT with Game Blockchain 에서 가상화폐, 그리고 NFT 까지 바야흐로 가상자산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습니다. 이 시점에서 간단하게나마 현재 가상자산 현 주소와 blockchain 은 무엇이고, 그리고 NFT 가 무엇인지에 대해 요약을 해봅니다. 오늘날의 블록체인과 가상화폐 블록체인? 권위 있는 중앙 조직·기관·단체 등이 없이, 자유롭고 평등한 참여자들에 의해 자율적으로 유지되고 운영됩니다. 기존의 서버-클라이언트 구조에서는 모든 정보가 중앙에 있는 서버로 집중되기 때문에 중앙을 차지한 사람이 의사결정권한을 가지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블록체인은 중앙이 없는 피투피(P2P) 방식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권위를 가진 중앙이 존재하지 않는다. 블록체인에서 의사결정 방식은 네트워크에 참여한 모든 사람들의 과반수 이상의 동..
Android Emulator 에서 Localhost 접근을 하고 싶다면... ADB Reverse Socket (Android only) This solution works for me (tested with a MacBook): Connect Android mobile device with USB cable to laptop Enable USB Debugging on mobile device On laptop, run adb reverse tcp:4000 tcp:4000 Use your custom port number instead of 4000 Now, on the mobile device, you can navigate to http://localhost:4000/, and it will actually connect to the laptop, not the mobile ..
Effective Kotlin - Prefer Sequence for big collections with more than one processing step Summary Eager evaluation vs Lazy evaluation Order is important listOf 와 같은 iterable 형태의 구조의 결과와 sequenceOf 의 결과 값은 다릅니다. sequenceOf(1,2,3) .filter { print("F$it, "); it % 2 == 1 } .map { print("M$it, "); it * 2 } .forEach { print("E$it,")} // Prints: F1, M1, E2, F2, F3, M3, E6, listOf(1,2,3) .filter { print("F$it, "); it % 2 == 1 } .map { print("M$it, "); it * 2 } .forEach { print("E$it, ") } //..
Kotlin - Respect the contract of hashCode 아래 결과에 대해서 한번 생각해보자. hashTable 의 경우 hashCode 를 키로 설정한다. /** * You can edit, run, and share this code. * play.kotlinlang.org */ data class FullName ( var name : String, var surname : String ) fun main() { val person = FullName("hello","world") val s = mutableSetOf() s.add(person) person.surname = "Mosk" println(s.contains(person)) // false println(person in s) // false println(s.first() == person..